«   2025/07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Archives
Today
Total
관리 메뉴

깊이에의 강요

하나의 수도명 본문

vita contemplativa

하나의 수도명

하나 뿐인 마음 2013. 7. 18. 06:32

 

 

내가 지인의 꿈에 나타나서 수도원에 관한 이야기를 들려주었단다. 수도원에는 모두가 하나의 수도명을 갖는데, 모두 세레나란다. 그래서 수도원에 세레나에게 기쁜 편지가 오면 어떤 세레나에게 온지 몰라서 모두 내 일처럼 기뻐한다고.

 

꿈 내용을 듣자마자 참 의미 깊은 꿈이다 싶었다. 그런데 그걸 내가 말해줬다니. 예전에 레솨의 꿈에 나타나 평소에 내가 즐겨 입던 검은색 원피스를 주었고, 그걸 받아든 레솨가 샬트르 수녀원에 입회했던 것을 생각해보면 물론 이 꿈 역시 아녜스 자매에게 뭔가 의미를 던지는 꿈이려니 하지만, 며칠 동안만이라도 이 꿈에 대해서 나도 천천히 반추해보며 꿈의 깊은 내면으로 들어가 보고 싶다는 생각을 했다.

 

세레나는 고요하다라는 뜻의 세례명이다. serenade는 밤에 연인의 집 창가에서 부르거나 연주하는 노래이다. 고요한 밤, 달빛에 기대어 사랑하는 연인에게 부르는 사랑의 노래. 다른 이는 듣지 못하는, 어쩌다 사랑의 노래를 듣는다 해도 그에겐 의미 없는 멜로디일 뿐. 오직 한 사람을 위해 부르는 한 사람만의 . 그러고 보니 우리 수도자들은 모두 하느님 한 분을 위해 살아가는 세레나가 아니겠는가.

 

얼마 전 나는 내가 하나의 나무일 때도 있지만 '우리'하나의 나무일 때도 있음을, 지금은 더 큰 그림을 위해 더 큰 나무를 그려야 하는 때임을 생각했었다. 너와 내가 어우러져 하나의 나무가 된다는 것. 씨앗이든 뿌리이든 잎이든 가지이든 우린 하나의 나무라는 공동체 의식. 같은 수도명을 갖는다는 말은 어쩌면 이름이 같다는 의미와 함께 우리 모두 수도자라는 의미도 있으리라 싶다. 개인적으로는 서로 다른 꿈을 꾸기도 하지만 우린 수도자로서 하나의 비전을 공유하며 살아간다. 개인적 꿈보다 더 중요하고 근본적, 원초적이며 모든 이유를 능가하는 유일무이한 이유가 바로 수도자, 성소(聖召)이다.

 

요즘만 그런 건 아니지만, 미국에 와서 살고 있는 지금도 나는 우리 나라 덕분에 가만히 앉아서도 멀미할 지경이다. 쉬는 시간 쪼개어 뉴스를 보고 걱정도 하고 불평도 하고 물론 기도도 한다. 염려와 기도만으로 해결되는 문제는 아니지만, 마음이 많이 쓰이고 아픈 건 사실이다. 물고 뜯으며 싸우는 모양새가 초딩보다 못하다는 생각이 든지 오래이다. 어제 국정조사만 해도 기가 찰 노릇 아닌가. 


하나의 수도명을 갖듯 우리 모두는 '대한민국 국민'이라는 하나의 이름을 가졌다는 사실을 깨달을 수는 없을까. 보편적 인류애 같은 거창한 단어를 쓰지 않더라도 우리 모두가 그저 '인간'이라는 이름을 가졌다는 사실을, 인간이라면 당연히 지녀야할 양심을 실천해야하는 존재라는 정도만이라도 우리가 깨달았으면 좋겠다. 물론 보편적 인류애로 누구보다 이타적인 삶을 살아가는 이들이 우리 나라에도 많이 있긴 하지만 말이다.

 

나는 성심으로 온전히 살아내는 것도 중요하지만, 내가 온전히 수도자일 때, 죽을 때까지 conversatio morum을 살아낼 때 기쁨의 수도삶을 살 수 있을 것이다. 나는 하느님 앞에 온전히 성심이자 또한 온전히 수도자이니 내가 나로서 살아간다는 것은 온전히 수도자로서 살아간다는 의미일 테니 말이다. 온전히 수도자일 때 나는 비로소 온전히 성심수녀가 된다.

'vita contemplativa'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숨지 말고 떠나지 말고  (0) 2013.08.04
미끄럼틀  (0) 2013.07.31
사람이 비록 해치지 않더라도  (0) 2013.07.16
길 아닌 곳에 서 있을 각오  (0) 2013.07.15
촛불을 들자  (0) 2013.07.08
Comments